본문 바로가기
일상과생활

"3월 14일 "세계 수면의 날수면 건강의 중요성 재조명"

by 우아니스 2025. 3. 12.
반응형

 

잘자요

 

 

 

한국인 수면 시간18% 부족… 건강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

 

 

세계수면학회가 수면 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지정한 3월 14일 ‘세계 수면의 날’을 맞아, 대한수면연구학회가 최근 발표한 ‘2024년 한국인의 수면 실태’ 보고서가 주목받고 있다.

대한수면연구학회 신원철 회장은 "수면 장애는 신체, 정신, 인지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공공 보건 문제로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인의 평균 수면 시간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58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18% 부족하다. 성인의 건강한 수면 시간(최소 7시간)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 평균 취침 시간: 오후 11시 3분
  • 평균 기상 시간: 오전 6시 6분
  • 수면 만족도: 전 세계 평균의 75% 수준
  • 매일 숙면하는 비율: 7% (대다수의 국민이 수면의 질이 낮음)

수면 부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면역력 저하 및 질병 위험 증가

  • 감기 위험 3배 증가
  • 비만과 당뇨병 위험 증가
  • 6시간 이하 수면 시 심장동맥질환 위험 48% 증가
  • 뇌졸중(뇌중풍) 위험 15% 증가

정신 건강 악화

  • 주의력 저하기억력 감소
  • 불안장애, 우울증 심화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 유병률: 남성 4.5%, 여성 3.2%

 

수면 부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수면 부족은 사회·경제적으로도 막대한 손실을 초래한다. 연구에 따르면 임직원 생산성은 50% 이상 감소하며, 의료비 지출과 병가 증가로 인해 기업 부담도 커진다.

연간 경제적 손실 규모

  • 미국: 4110억 달러(약 597조 원) (GDP의 2.28%)
  • 일본: 1380억 달러(약 200조 원)
  • 영국: 500억 달러(약 72조 원)
  • 한국: 약 11조 원 손실

수면 건강 인식 제고 및 정책적 지원 필요

  • 보건소·학교에서 수면 건강 교육 강화
  • 기업 내 수면 건강 관리 프로그램 도입
  • 교대 근무자·핵심 노동자의 수면 실태 정기 조사
  • 수면 장애 치료제 및 수면무호흡증 기기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확대

건강한 수면 습관 개선 방법

  • 규칙적인 수면 습관 유지 (매일 같은 시간 취침·기상)
  • 취침 전 스마트폰·TV 시청 줄이기
  • 암막 커튼 사용 및 수면 환경 개선
  • 카페인·알코올 섭취 줄이기
  • 스트레스 관리 (명상·요가 추천)

2025.03.03 - [분류 전체보기] - 잠 못 자면 살찐다?…

 

잠 못 자면 살찐다?…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과 스트레스 속에서 수면 부족을 겪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단순히 피곤함을 느끼는 것을 넘어, 수면 부족이 체중 증가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연

kkh1599.tistory.com

 

2025.03.11 - [분류 전체보기] - 낮에 더 졸리고 나른하다? " 뇌에 변화를 알아보자"

 


"); wcs_do();